춘란의세계

난의분류방법1(관리방법)

늘벗 2007. 5. 4. 15:44
* 서양란이 대개 꽃을 즐기는데 비해 동양란은 꽃외에
잎도 사계절 감상을 합니다

* 동양란은 그종류도 많고 분류법도 굉장히 다양하며 분류한 용어자체가
한자어가 많아 용어자체가 어려워 어지간한 애호가가 아니면 이해하기가
힘들고 초심자들은 지레 겁먹기 일수인데요
난도 원예용 화초인 만큼 기본적인 것만 이해하시면 난을
기르는 즐거움을 만끽 하실 수 있습니다

* 먼저 난분류법입니다
대개 꽃이 어느 계절에 피느냐에 따라 춘란,추란,하란,한란으로 구별합니다
또 꽃의 모양,꽃의 색,몇개의 꽃이 피느냐, 잎의모양,잎의 색,잎의 무늬
잎의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고 그중 잎과 꽃등 특색이 있는 고급란의
경우는 '서해금"처럼 고유명사가 이름으로 붙여집니다


* 옛날부터 중국에서는 일경일화(한 꽃대에 한송이 꽃이 피는 것)를 蘭
-봄에 피는 춘란 종류가 대부분 일경일화입니다

일경구화(한 꽃대에 여러송이의 꽃이피는 것)를 蕙(혜)라고 구별하였습니다
- 보통 시중에서 개업집에 나가는 대분의 동양란은 혜란이 많습니다

(좁은 의미로는 혜란은 일반적으로 무늬가 들어 있는 일경다화의 난을
蕙蘭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 가장 대중적안 분류법은 옛부터 난중 최고봉으로 치는 춘란
잎이 가늘고 길며 겨울에 피는 한란
혜란(한송이 꽃대에 여러개의 꽃이 핌)은 잎이 넓은 보세류와
잎이 가는 소심류
즉 춘란,한란,소심,보세 이 4가지를 가장 대중적인 분류법으로
보시면 됩니다

** 난중에서도 꽃이 아름다운 난을 화예품,
잎이 아름다운 난을 엽예품이라 부르는데
난애호가들이 가장 관심을 가지고 보는 것이 이 엽예품입니다
(잎의 무늬가 어떻게 들어 잇는가에 따른 분류법이
가장 많을 정도로 난애호가들에게는 잎의 무늬가 중요하고
잎 무늬가 아름다울수록 고가품입니다)

** 서해금은 대중적인 분류상 혜란에 속하며 또한 잎무늬가 아름다워
엽예품으로 사랑반는 난입니다

** 서해금 관리법입니다

* 모든 화초의 기본관리(자생지의 환경에 가장 가깝게 해주는 것)와
마찬가지로난관리에 가장 기본적으로 알아 두셔야 할 것은
동양란은 반음지 식물입니다
또한 건조한 환경보다는 습한 환경을 좋아합니다
난 뿌리는 습한 압벽이나 낙엽 쌓인곳, 식물의 수피에 착생하며 살기에
통기성(바람이 잘통함)이 좋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기본적인 사항 3가지만 아시면 다른것은 쉽게 이해가 됩니다

*혜란(서해금)의 기본적인 관리법입니다
참조하세요
1.. 빛관리

오전중 2시간 정도의 직사광선이 최상의 환경이며 빛이
너무 강하면 잎이 누렇게변합니다.
오전중에 빛이 들어오는 동,남쪽의 창가나 베란다(겨울은 피하고
한여름은 해가린을 해 주거나 빛이 적게 들어오는 거실쪽으로 이동)
에 두시면 좋습니다.
란은 기본적으로 음지(반음지) 식물입니다


2.온도
생육적온은 오전 20-25도 정도이며
주야간 기온차가 10-15정도가 좋다
즉 난은 봄,가을이 주요 성장기이며
무더위로 지치는 한여름과 휴면하는 추운겨울에는 그의 성장을
하지 않습니다

10도 이하는 생장을 중지하므로
겨울 월동온도는 7-8도 이하로(최저 5도) 내려가지 않게
여름에는 30도이상 오르지 않게 한다.
겨울에는 난을 휴면 시켜야 하므로 온도가 13도 이상 오르지 않게
하며 열대야인 한 여름에는 30도이상 오르지 않게 서늘한 곳에서
관리합니다.

3.물주기
물주는 주기는 난의 성장속도, 계절에 따라 다른데
항상 그 기준은 난 화분위의 돌(난석)의
마른상태를 보시고 주시면 됩니다

4월 중순부터는-9월 중순은 난석이 마른 당일 날 (저녁이 좋음)
9월 중순 -4월 초는 마른 다음 날 오전 10-2시 사이에(가능하면)
주시면 됩니다

* 대개 한 10일 정도 유심히 관찰하시면 물주는 주기를
아실 수 있습니다 (같은 종류의 난이라도 화분크기, 난석의 종류
난의 촉수나 크기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 습한 환경을 좋아하므로 건조한 실내인 경우에는
잎에 미지근한 물(실내온도)로 잎에 자주 분무해 주시면 좋습니다


4.비료주기
비료는 주로 봄(4-7), 가을(9-10)에 주세요
난석에 꽂는 노랑 비료를 꼽아 주셔도 되고요
하이포넥스 액비를(작은병 2,000원 정도) 약하게 희석해서
(1:1000-2,000) 주거나 고형비료를 난분위에 올려 놓으시면 됩니다
(겨울철,장마철,한여름,개화기에는 비료주기를 피한다)

5. 화분갈이
분갈이는 2-3년 주기가 좋으며 큰 분에 여러 포기로 자라는 것은
3년마다 하시면 됩니다
필요성: 물주기,비료투여 등으로 배양토가 산성화 되며 촉수가
늘어나 물빠짐, 통기성이 안 좋아진다
언제: 춘분(3월21일)과 추분(9월23일)을 전후해서
포기나누기 : 3촉이상을 한포기로 하며 할아버지(1대)
아버지(2대)아들(3대) 촉이 이어진 상태로 나누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포기를 나늘 때는 2-3일 정도 물을 말리며
(물에 젖으면 뿌리가 상하기 쉽다)
소독된 칼이나 가위를 사용한다.
분갈이 후에는 직사광선과 강한 바람을 피하며
충분히 물을 주어정양(靜養)시킨다.

*** 계절별 유의 사항

12월-2월

* 햇빛이 잘 드는 곳에 두며/ 최저 5-최고 15도 사이에서 관리
따뜻한 날 오전에 난잎에 분무/맑은날 적정 통풍외에 찬바람을
맞지 않게 한다

* 물은 오전에 미지근한 물로/ 2월부터는 최저 온도를 10도 정도로

3-5월

*3월은 최저 온도 15도 4월부터는 야간온도가 10도 이하로
떨어지지 않게 /아침 햇빛은 쏘이되 한낮 햇빛은 서서히 차광
춘분을 전후해 분갈이 시기(2년)이 되면 분갈이 한다
물주는 횟수를 점차 늘려간다
새로올라온 새촉에는 물줄때 물이 고여 있지 않게 한다


6-7월
* 통풍에 신경쓴다
* 일주일 정도 물주기를 중단 꽃봉오리가 맺히도록 자극한다
* 꽃대가 올라오면 물주기를 다소 건조하게 관리하며
물줄때 꽃에 물이 닿지 않게 한다
* 난 분이 마르지 않게 충분히 물을 주며 가능한 해가 진
다음에(7월) 준다/ 한낮에는 물주기 절대삼가
* 실내에서 기르는 동양란은 환경조건이 자생지와 다르기에
개화시기가 몇개월씩 차이가 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7-8월 한여름
* 꽃이 완전히 말라비틀어 지도록 두지 말고 적당히 지기
시작하면 꽃대를 자른다(지나친 양분소비 방지)
* 꽃이 핀 난은 다소 서늘하고 그늘진 곳에서 관리해야
꽃을 오래 볼 수 있습니다
* 직사광선 차단 유의 (잎이 타지 않도록)
* 에어콘 바람을 직접 맞지 않도록한다
* 30도가 넘지 않도록 서늘한 곳에서 관리

9-11월
*꽃이 진 포기는 액비를 월 1-2회 준다(쇠약방지)
*9-10월 한낮의 햇빛은 차광
*꽃이 진 난(분갈이 후 2년 경과)은 추분을 전후해 분갈이 한다
* 가을부터 습도가 낮아지므로 종종 잎에 분무한다
*11월은 최저 10도 최고 20도 정도에서 관리한다


** 동양란 분류법,기본적인 관리등 더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www.hwasarang.co.kr 게시판18-28번을 참조하시고
난 애호가로 입문하실려면 <난> 강법선/대원사- 책을 추천합니다


***잎에 원예적 가치가 있는 변이종의 분류(엽예품)

* 반(班) : 잎에 나타나는 무늬를 말합니다
* 반예(班藝) : 무늬 가운데 관상가치가 있는 것을 반예라부릅니다

복륜반(覆輪班) : 잎 끝에서 잎 밑을 향하여 무늬색이 들어 있는 형태
*복륜은 조(爪)와 복륜으로 나누는데
조는 잎끝이 선단부에서 잎의 겉쪽을 향해 짦게 나타나는것
복륜은 잎의 밑부분인기부(가까이)까지 길게 내려간 무늬

호반(縞班) 복륜반과 반대로 잎 및에서 잎 끝을 향해 무늬색이 올라가는 형태
산반(散班) : 잎위에 짧은선들이 섬세하게 연결되어 거칠게 긁힌 듯한 무늬
선반(先班) : 산반이 잎 끝에만 집중적으오 나타남
축입(蹴입) : 잎끝에 조의 무늬가 있고 중앙을 향해 호의 반대형식으로
줄무늬가 내려짐
편호(片縞) : 한쪽은 평범하고 한쪽만 호가 나타나는 것
사피반(蛇皮班) : 황색이나 황백색의 무늬가 들어 있고 이 무늬색안에
녹색의 점들이 찍혀 있는 것
호피반(虎皮班): 무늬색이 마다마다 나타나 호랑이의 무늬를 연상케 함

**가장 종류도 많고 심오한 것이 복륜으로 복륜은 무늬가 들어간정도에 따라
조복륜,사복륜,대복륜,심복륜,심조복륜,심대복륜,운정,모자,축입호,
학예복륜,쇄모입,호복륜,축입복륜,축입복륜호,이중복륜,송엽복륜,산반복륜
호반복륜,사피복륜,사자복륜,갑복륜으로 구분합니다

'춘란의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직배양란  (0) 2007.05.10
韓國春蘭의 용어(用語)  (0) 2007.05.07
난의분류방법2  (0) 2007.05.05
춘란(春蘭)  (0) 2007.05.03